림프부종치료
림프부종
일반적으로 림프계 손상이나 기능이상으로 인한 림프액 수송능력 저하에 의해 신체의 내외 기관에 국소적 또는 전신적으로 발생하는 부종
→ 림프액 저류에 의한 모든 질환적 양상을 총칭합니다.
이차성 림프부종
감염, 수술, 종양, 방사선 조사, 외상 등으로 림프계의 손상으로 인한 림프부종
유방암 환자에서 림프부종 위험인자
- 나이 > 60세
- 액와 방사선치료
- Taxenes 계 항암제
- 감염(봉와직염 등)
- 수술 후 합병증
- 불량한 위생상태
- 불량한 영양상태
- 비만(높은 BMI)
- 광범위한 액와 림프절 절제술
- 외상
- 액와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
림프부종 병기
0 ~ 1기에 조기진단하여 치료를 해야하며 피부변성이 되는 2-3기에는 완치가 쉽지 않습니다.
임상병기 | 특징 |
---|---|
0기 | 림프관 손상있으나 임상증상은 없는 경우 |
1기 | 함요부종과 같은 임상적인 증상이 있으나 부종부위를 거상하거나 하여 증상이 호전되며, 정상크기로 회복이 가능한 시기 |
2기 | 조직내 섬유화가 진행하여 자연적인 회복이 어려움 |
3기 | 섬유화가 더 진행하여 피부가 단단해지고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심한 부종 상태 |
평가
- 증상 : 무거움(Heaviness), 조임(Tightness), 부종(Swelling)
- 둘레측정 : 건측과 2cm 이상 차이 시 진단
- 부피측정
- INBODY 측정
- 영상의학적 진단 : 림프신티그라피, 림프계 SPECT/CT, CT/MRI, 초음파, 림프조영술 등
치료
- 복합림프물리치료(Complex Decongestive Physical Therapy)
- 도수림프배출법 (Manual lymphatic drainage, MLD)
- 압박치료 : 압박 스타킹, 압박붕대 등
- 부종감소 운동
- 피부관리
- 약물치료 : Selenase, 엔테론 등
- 고압산소치료
- 수술적치료
복합림프물리치료(Complex Decongestive Physical Therapy)
단계 | 증상 | 제1기 집중치료 | 제2기 유지기 초기 | 제2기 유지기 후기 |
---|---|---|---|---|
0기 | 부종(-) 림프신티그래피 : 이상소견(+) |
림프부종의 위험 요소관리 | ||
1기 | 부종(+) 거상시 부종감소(+) |
MLD : 1회/일 압박치료 부종감소 운동 기간: 14-21일 |
MLD : 주기적으로 압박제품 : 상황에 따라 조정하여 사용 |
|
2기 | 부종(+) 피부변화(+) |
MLD : 2회/일 압박치료 부종감소 운동 기간 : 21-28일 |
MLD : 1-2회/주, 2-5년 압박붕대 및 압박제품 : 계속사용 부종감소 운동 주기적인 제1기 치료 반복 |
MLD : 1회/주 압박제품 : 계속 사용 부종감소 운동 |
3기 | 부종(+) 피부경화 |
MLD : 2-3회/일 압박치료 부종감소 운동 기간 : 28-35일 |
MLD : 2-3회/주, 5-10년 압박붕대 및 압박제품 : 계속사용 부종감소 운동 주기적인 제1기 치료 반복 |
MLD : 1-2회/주 압박제품 : 계속 사용 부종감소 운동 |
한가지의 치료만으로 완치가 쉽지 않은 질환이라 예방이 제일 중요하며 재활의학과 의사의 정확한 평가를 통해 환자분의 상태에 맞게 여러 가지 치료를 복합적으로 적용을 해야합니다.